수익형 블로그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면, 다음 단계는 수익 흐름을 ‘자동화’하는 것입니다.
시간을 아끼고, 반복 작업을 줄이며, 콘텐츠 발행 → 유입 → 수익 전환까지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면 진짜 ‘스마트워크’가 시작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자동화 도구 Zapier와 Make를 활용해 AI 기반 수익 흐름 자동화 전략을 소개합니다.
1. 자동화 툴이란?
키워드: 업무 자동화, No-code 자동화 플랫폼
Zapier와 Make는 ‘노코드(No-code)’로 다양한 앱들을 연결하여 자동화된 워크플로우(작업 흐름)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
- ✅ 반복 업무 자동화
- ✅ 앱 간 데이터 연동 (예: Notion ↔ Google Sheets)
- ✅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자동 처리 (ex: 블로그 글 발행 시 이메일 전송)
👉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사용 가능하며, 수익형 블로그에도 매우 효과적입니다.
2. Zapier 기본 용어 정리
- Zap: 하나의 자동화 작업 단위
- Trigger: 자동화를 시작하는 조건 (ex: 새 글 발행)
- Action: 실행될 작업 (ex: 시트에 기록, 메일 발송 등)
📌 Make는 ‘Scenario’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개념을 사용합니다.
3. 수익형 블로그 자동화 예시
다음은 블로그 운영에 자주 쓰이는 자동화 시나리오입니다:
① 블로그 글 발행 → Google Sheets 자동 기록
- Trigger: 워드프레스 새 글 발행
- Action: Google Sheets에 제목/링크/날짜 자동 입력
② Notion 콘텐츠 기획 → 자동으로 캘린더 등록
- Trigger: Notion에서 콘텐츠 카드 상태가 '작성 완료'로 변경
- Action: Google Calendar에 예약 등록
③ 뉴스레터 구독 → 환영 메일 + 무료 PDF 자동 전송
- Trigger: Stibee나 Substack 구독 폼 입력
- Action: 환영 메일 전송 + PDF 파일 링크 포함
④ 제휴 마케팅 성과 → 수익 시트에 자동 기록
- Trigger: Impact나 쿠팡 파트너스 API 활용
- Action: 수익 데이터 Google Sheets에 자동 저장
4. AI와 자동화를 연결해 더 똑똑하게
ChatGPT + 자동화 도구를 연결하면, 콘텐츠 생성 → 전송 → 백업까지 자동화가 가능합니다.
예시: ChatGPT → 요약 생성 → 뉴스레터 자동 구성
- Trigger: 새 블로그 글 작성 완료
- Action 1: ChatGPT API로 요약 생성
- Action 2: MailerLite or Stibee로 뉴스레터 자동 생성 & 예약
예시: 글쓰기 아이디어 자동 저장
- Trigger: Google Form에서 주제 입력
- Action: Notion 콘텐츠 DB에 자동 저장
5. Zapier vs Make 비교
기능 | Zapier | Make |
---|---|---|
난이도 | 간단하고 직관적 | 다소 복잡하지만 유연함 |
시각적 구성 | 리스트 형태 | 플로우 차트 형태 |
무료 플랜 | 월 100개 작업 | 월 1,000작업 이상 가능 |
추천 용도 | 기본 자동화, 뉴스레터, 캘린더 | 복잡한 워크플로우, 다단계 작업 |
💡 마무리하며
자동화는 더 많은 일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, 중요한 일에 집중하기 위한 준비입니다.
오늘부터 Zapier나 Make를 활용해 당신의 콘텐츠와 수익 흐름을 자동화해 보세요. 콘텐츠 비즈니스는 반복을 줄일수록 성장합니다.
📌 다음 편 예고: “전체 시스템 정리 + PDF 제공 + 수익형 블로그 구축 완성”